맨위로가기

부레 (기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레는 물고기의 등 쪽에 위치하며, 기체로 채워져 부력을 조절하는 기관이다. 일부 어류는 부레를 소리 감지에 활용하며, 베버 기관을 통해 청각 능력을 향상시키기도 한다. 부레는 폐와 진화적으로 관련 있으며, 폐가 부레로 진화하거나, 부레가 폐의 기능을 하는 경우도 있다. 일부 어류의 부레는 식용 또는 산업적 용도로 사용되지만, 멸종 위기종의 남획을 초래하기도 한다. 또한, 부레는 음파 탐지 기술에도 활용되며, 심해 산란층을 형성하는 데 기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어류해부학 - 지느러미
    지느러미는 물고기의 몸에 붙어 추진, 조향, 균형 유지 등 다양한 기능을 하는 부속지로, 쌍을 이루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뉘며 종에 따라 형태와 위치가 다양하고 번식, 체온 조절, 먹이 유인 등에도 사용되는 사지동물 사지 진화와 관련된 구조이지만, 상어 지느러미 채취와 같은 위협도 존재한다.
  • 어류해부학 - 아가미
    아가미는 수생 동물이 물속에서 산소를 흡수하도록 돕는 다양한 형태의 호흡 기관이며, 얇은 구조와 역류 교환 메커니즘을 통해 효율적인 기체 교환을 가능하게 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부레 (기관)
구글 지도
기본 정보
설명물고기가 부력을 조절하는 데 사용하는 가스 채워진 기관
기능부력 조절
일부 종에서는 호흡, 소리 생성 및 감지에도 사용
위치몸통 안, 척추 아래
구조 및 기능
형태다양한 크기와 모양
가스 종류주로 산소, 질소, 이산화탄소
가스 조절 메커니즘가스선 또는 폐포를 통해 혈액에서 가스를 흡수하거나 배출
어류 종류에 따른 기능연골어류: 없음
경골어류: 존재
추가 기능
소리 생성일부 어종은 부레를 진동시켜 소리를 냄
감각 기능일부 어종은 부레를 통해 압력 변화 감지
진화
기원초기 어류의 소화 기관에서 유래
폐와의 관계일부 어류에서는 폐와 유사한 기능 수행
참고 자료
추가 정보UCMP 버클리
마이크로소프트 엔카르타 백과사전 1999
Nursall (1989) 부력에 관한 논문
이미지
홍메기
홍메기의 부레
납줄개
납줄개의 부레 내부 위치, S: 전방, S': 후방, œ: 식도, l: 부레의 공기 통로

2. 구조와 기능

경골어류의 부레


부레는 물고기의 등쪽에 위치한, 가스로 채워진 주머니 형태의 기관이다. 일부 원시 종은 단일 주머니를 가지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두 개의 주머니로 구성된다. 부레는 주변 압력에 따라 수축하거나 팽창하는 유연한 벽을 가지고 있으며, 이 벽은 혈관이 거의 없고 구아닌 결정으로 덮여 있어 기체가 투과되지 않는다. 물고기는 기체샘 또는 타원창을 사용하여 기체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중성 부력을 얻고 다양한 깊이에서 활동할 수 있다. 부레가 등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물고기는 측면 안정성을 확보한다.[5]

피라냐의 경우 부레는 공명기 역할을 하여 소리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피라냐가 내는 소리는 음향 근육의 빠른 수축에 의해 생성되며 부레와 관련이 있다.[9]

경골어류는 절대적인 정수압을 감지하는 능력은 부족하지만,[10] 부레 부피 변화율을 감지하여 깊이를 결정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11]

2. 1. 부력 조절

역류 교환을 이용한 부레로의 가스 주입 방식


물고기의 몸은 주변 물보다 밀도가 커서 가라앉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물고기는 부레를 발달시켜 부력을 얻는다. 부레는 신축성이 있는 기관으로, 기체를 채우거나 빼서 부력을 조절한다.[5]

부레는 일반적으로 물고기의 등쪽에 위치하며, 기체샘 또는 타원창을 통해 기체 압력을 조절한다. 이를 통해 물고기는 중성 부력을 얻고 다양한 수심으로 오르내릴 수 있다. 등쪽에 위치한 부레는 물고기의 측면 안정성에도 기여한다.[5]

폐구류 물고기는 부레와 소화관 사이의 연결(기관지관)을 통해 공기를 삼켜 부레를 채우고, 과도한 가스는 같은 방식으로 제거할 수 있다. 반면, 더 진화된 물고기 종류인 폐쇄류는 소화 기관과의 연결이 끊어져 있다. 이들은 초기 생장 단계에서 수면으로 올라가 부레를 채우며, 성장 후에는 기체샘이 부레에 산소를 주입하여 부피를 늘리고 부력을 증가시킨다.[5]

기체샘은 젖산을 배출하고 이산화탄소를 생성하여 ''기적망''의 혈액을 산성화시킨다. 이산화탄소는 중탄산염 완충계를 통해 혈액을 더욱 산성화시키고, 이는 혈액의 헤모글로빈이 산소를 잃게 한다(루트 효과). 이렇게 방출된 산소는 부레로 확산된다. 혈액은 ''기적망''으로 다시 들어가 과도한 이산화탄소와 산소가 역류 증폭 루프를 통해 기체샘에 산소를 공급하는 동맥으로 확산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심해어의 부레에는 매우 높은 산소 기체 압력이 유지될 수 있다.[5]

부레 내 기체의 조합은 다양하며, 천해어는 대기와 비슷한 비율을 가지지만, 심해어는 산소 비율이 더 높다. 예를 들어, 뱀장어 ''Synaphobranchus''의 부레는 산소 75.1%, 질소 20.5%, 이산화탄소 3.1%, 아르곤 0.4%로 구성되어 있다.[5]

폐쇄류 부레는 빠른 상승 시 부레가 터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폐구류는 가스를 "트림"할 수 있지만, 재잠수 과정을 복잡하게 만든다.[5]

일부 담수어(잉어, 메기, 아메리카 쏘가리)는 부레가 베버 기관의 베버 소골을 통해 내이와 연결되어 있다. 이는 소리와 진동을 난형낭과 와우각으로 전달하여 소리 감지 능력을 향상시킨다.[7] 또한, 부레는 소리의 압력을 방사하여 감도를 높이고 청력을 확장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일부 심해어에서는 부레가 난형낭 반점에 연결되어 음압 감각을 받기도 한다.[8]

2. 2. 청각 보조 (베버 기관)

일부 어류는 부레를 청각 기관으로 활용한다. 잉어메기 종류는 베버 기관(Weberian apparatus)을 통해 소리를 듣는다. 베버 기관은 부레와 연결된 척추뼈 가장 앞쪽의 네 개의 뼈로 구성되어 부레에서 증폭된 진동을 내이로 전달한다. 따라서 베버 기관을 가진 물고기는 경골어류(Ostariophysi)라고 불리며, 청각이 뛰어나다.[1]

3. 다양한 부레

부레는 진화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분화되었다. 초기 어류는 부레와 소화관을 연결하는 기도(개방형 부레)를 가졌지만, 진화된 어류는 기도 없이 기체샘을 통해 가스를 조절하는 폐쇄형 부레를 가진다.

연어목, 잉어목, 청어목, 뱀장어목 등은 일생 동안 개방형 부레를 유지하며, 수면에서 공기를 삼켜 부레를 채우고 필요에 따라 기도를 통해 가스를 배출한다.[1] 반면, 멸치목, 대구목, 농어목 등은 치어 시기에 기도를 잃고 폐쇄형 부레가 된다.

원시 조기어류인 폴립테루스목, 가아목, 아미아목과 육기어류인 폐어는 부레를 폐처럼 사용하여 아가미호흡 외에도 공기를 이용한 폐호흡으로 산소를 얻는다. 이들의 부레는 폐와 같은 기관이며, 특히 폐어의 부레는 폐라고 불리기도 한다.

철갑상어목진골어류는 부레가 호흡 기능을 잃고 식도 등쪽에 연결되며, 한 쌍의 부레가 융합되거나 한쪽이 퇴화하여 하나만 남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카라신목의 Erythrinus|에리트리누스la, 아로와나목의 피라루크 등 일부 민물고기는 여전히 부레로 호흡한다.[37]

현존하는 실러캔스인 라티메리아는 지방으로 채워진 부레를 가지고 있으나, 실러캔스는 기체로 채워진 부레를 가진 조기류보다는 폐를 가진 폐어에 더 가깝다.

3. 1. 기도의 유무

초기 어류는 부레와 소화관을 연결하는 기도(개방형 부레)를 가졌으나, 진화된 어류는 기도 없이 기체샘을 통해 가스를 조절하는 폐쇄형 부레를 가진다.

폐구류 부레에서는 부레와 소화관 사이에 기관지관이라는 연결이 유지되어 물고기가 공기를 "꿀꺽" 삼켜 부레를 채울 수 있다. 과도한 가스는 같은 방식으로 제거할 수 있다.

더욱 진화된 물고기 종류(폐쇄류)에서는 소화 기관과의 연결이 사라진다. 초기 생장 단계에서 이러한 물고기는 부레를 채우기 위해 수면으로 올라가야 하며, 후기 단계에서는 기관지관이 사라지고 기체샘이 부레에 가스(일반적으로 산소)를 주입하여 부피를 늘리고 따라서 부력을 증가시킨다.[5]

연어목, 잉어목, 청어목, 뱀장어목 등은 일생 동안 개방형 부레를 유지한다. 반면, 멸치목, 대구목, 농어목 등은 치어 시기에 기도를 잃고 폐쇄형 부레가 된다. 하지만 뱀장어목은 개방형 부레이지만 가스샘도 가지고 있다.

3. 1. 1. 개방형 부레 (유기관 부레)

연어목, 잉어목, 청어목, 뱀장어목 등은 일생 동안 개방형 부레를 유지한다.[1] 이들은 수면에서 공기를 삼켜 부레를 채우고, 필요에 따라 기도를 통해 가스를 배출한다.[1]

3. 1. 2. 폐쇄형 부레 (무기관 부레)

멸치목, 대구목, 농어목 등은 어린 시기에 기도를 잃고 폐쇄형 부레로 전환된다. 이들은 기체샘에서 가스를 분비하여 부레를 채우고, 타원창을 통해 가스를 흡수하여 부력을 조절한다.[5] 이 과정은 기체샘이 젖산을 배출하고 이산화탄소를 생성할 때 ''기적망''의 혈액이 산성화되는 것으로 시작된다. 이산화탄소는 중탄산염 완충계를 통해 혈액을 산성화시킨다. 그 결과 발생하는 산성도는 혈액의 헤모글로빈이 산소를 잃게 하며(루트 효과), 그 산소는 부분적으로 부레로 확산된다. 혈액은 신체로 돌아가기 전에 ''기적망''으로 다시 들어가고, 그 결과 기체샘에서 생성된 과도한 이산화탄소와 산소는 거의 모두 역류 증폭 루프를 통해 기체샘에 산소를 공급하는 동맥으로 다시 확산된다. 따라서 수백 바의 압력을 필요로 하는 뱀장어와 같은 심해어의 부레에 가스가 존재하는 것을 설명할 수 있을 정도로 매우 높은 산소 기체 압력을 얻을 수 있다.[5] 다른 곳에서는 '타원창'으로 알려진 유사한 구조에서 부레는 혈액과 접촉하고 산소가 다시 확산될 수 있다.[6]

3. 2. 부레를 통한 호흡

원시적인 조기어류인 폴립테루스목, 가아목, 아미아목과 육기어류인 폐어는 부레를 폐처럼 사용한다. 이들은 아가미호흡 외에도 공기를 이용한 폐호흡을 통해 산소를 얻는다. 이들의 부레는 폐와 같은 기관으로, 특히 폐어의 부레는 폐라고 불리기도 한다. 부레로 통하는 기도는 식도의 배쪽(폴립테루스목)이나 등쪽(가아목, 폐어)에 연결되며, 대부분 좌우 한 쌍으로 존재하지만 오스트레일리아폐어는 하나만 가지고 있다.[37]

철갑상어목진골어류는 부레가 호흡 기능을 잃고, 식도 등쪽에 연결되며, 한 쌍의 부레가 융합되거나 한쪽이 퇴화하여 하나만 남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카라신목의 Erythrinus|에리트리누스la, 아로와나목의 피라루크 등 일부 민물고기는 여전히 부레로 호흡을 한다.[37]

3. 2. 1. 실러캔스의 부레

현존하는 실러캔스인 라티메리아는 지방으로 채워진 부레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실러캔스는 기체로 채워진 부레를 가진 조기류보다는 폐를 가진 폐어에 가깝다. 라티메리아는 실러캔스 중에서는 예외이며, 멸종한 많은 실러캔스는 폐어와 같은 폐를 가지고 있었다는 설도 있다.

4. 진화

부레는 사지동물과 폐어의 폐와 상동인 기관이다. 찰스 다윈 시대에는 어류보다 사지동물이 진화적으로 더 발달된 생물이라는 이유로, 부레에서 폐가 진화했다고 생각되었다.

하지만 20세기 후반에 경골어류의 진화 역사가 밝혀짐에 따라, 반대로 원시적인 경골어류는 폐를 가지고 있었고, 일부 경골어류에서 폐가 부레로 변화했다는 것이 밝혀졌다. 척추동물은 원래 해양 생물이었지만, 담수로 진출한 계통에서 경골어류가 탄생했고, 초기 경골어류는 용존 산소량이 감소하기 쉬운 담수 생활 속에서 공기 호흡의 필요성으로 폐를 발달시켰다. 그 후, 수중 생활에 특히 적응한 계통이 폐를 부레로 바꾸었다고 생각된다.

수면과 심해 사이의 이동에 대한 적응으로, 일부 어류는 기체 대신 저밀도 왁스 에스터를 사용하여 부레를 진화시켜 보일의 법칙에 대처하는 방법을 개발했다.[17] 실러캔스는 때때로 부레로 언급되기도 하는 "지방 기관"을 가지고 있지만, 구조적으로 다르며 별개의 진화 역사를 가지고 있다.[15]

다음은 악구류에서 폐와 부레의 진화를 나타낸 표이다.

구분폐/부레 유무
연골어류× (폐도 부레도 없음)
폴립테루스목○ (폐호흡을 하는 부레)
철갑상어목● (완전한 부레)
가아목○ (폐호흡을 하는 부레)
아미아목○ (폐호흡을 하는 부레)
진골어류● (완전한 부레)
육기어류
폐어□ (폐)
현생 실러캔스☆ (지방이 가득 찬 부레)
사지동물□ (폐)


4. 1. 폐에서 부레로의 진화

부레는 진화적으로 폐와 상동 관계에 있다. 최초의 폐는 조기어류(조골어류)와 육기어류(엽상지느러미 어류와 사지동물)의 마지막 공통 조상의 상부 소화관이 확장되어 기원했으며, 이는 산소가 부족한 환경에서 공기를 삼킬 수 있게 했다.[12] 조기어강(폴립테루스류를 제외한 조골어류)에서 폐는 부레로 진화했다(일부 계통에서는 이차적으로 소실됨). 폐가 배쪽에서 싹트는 것과 달리 부레는 앞쪽 전장에서 등쪽으로 싹튼다.[13][14]

찰스 다윈은 저서에서 부레가 부력 조절 외에도 호흡, 청각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고등 척추동물의 폐와 상동 기관임을 언급했다. 그는 부레가 폐로 전환되었다고 추론하며, 폐를 가진 모든 척추동물이 부레를 가진 고대 생물로부터 진화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3]

1997년, 파머는 폐가 심장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 진화했다는 이론을 제시했다. 어류는 혈액이 아가미에서 골격근을 거쳐 심장으로 순환하는데, 격렬한 운동 중에는 심장에 도달하기 전에 산소가 고갈될 수 있다. 원시적인 폐는 심장에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공급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했다. 이 이론은 화석 기록, 현존하는 공기 호흡 어류의 생태, 그리고 현존하는 어류의 생리학적 특징에 의해 뒷받침된다.[16]

배아 발생 과정에서 폐와 부레는 모두 장에서 주머니처럼 튀어나온 형태로 기원한다. 부레의 경우, 이 장과의 연결은 더 "원시적인" 조골어류에서 기낭관으로 유지되지만, 일부 더 진화된 텔레오스트목에서는 사라진다. 폐와 부레를 모두 가진 동물은 없다.

연골어류(상어, 가오리 등)는 약 4억 2천만 년 전에 다른 어류와 분리되었으며, 폐와 부레가 모두 없다. 이는 폐와 부레가 그 분리 이후에 진화했음을 시사한다.[16] 부레가 있는 텔레오스트 어류는 중성 부력을 가지므로 이종미형과 단단한 날개 모양의 가슴지느러미를 통해 부력을 얻는 연골어류와 달리 이러한 부력이 필요하지 않다.[18]

20세기 후반, 경골어류의 진화 역사가 밝혀지면서 원시적인 경골어류는 폐를 가지고 있었고, 일부 경골어류에서 폐가 부레로 변화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척추동물은 원래 해양 생물이었으나, 담수로 진출한 계통에서 경골어류가 탄생했다. 초기 경골어류는 용존 산소량이 감소하기 쉬운 담수 환경에서 공기 호흡의 필요성으로 폐를 발달시켰고, 이후 수중 생활에 적응한 계통에서 폐가 부레로 변화한 것으로 추정된다.

완전한 부레로의 진화는 조기어류진골어류철갑상어목에서만 일어났다. 다른 조기어류인 폴립테루스목, 가아목, 아미아목의 부레(폐)는 폐로서의 기능을 유지하며 폐호흡을 한다. 육기어류에서는 폐가 그대로 유지되었으며, 폐어나 사지동물이 이에 해당한다. 현생 실러캔스인 라티메리아는 폐가 지방으로 채워진 부레로 변화했다.

폐를 가진 어류는 폐에서 가스 교환을 거친 혈액이 심장으로 돌아가 심근에 충분한 산소가 공급된다. 그러나 폐를 잃은 어류는 격렬한 운동 시 심근이 산소 부족 상태가 되어 지구력이 떨어진다.[38]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부레를 가진 어류가 종 수와 개체 수 면에서 성공한 이유는 해조류 등 비행하는 어식성 동물[39]의 등장으로 수면 호흡이 위험해졌기 때문이라고 추정된다.[38]

경골어류와 육기어류의 폐/부레 진화
구분폐/부레 유무
연골어류폐와 부레 모두 없음
폴립테루스목폐호흡을 하는 부레(폐)
철갑상어목완전한 부레
가아목폐호흡을 하는 부레(폐)
아미아목폐호흡을 하는 부레(폐)
진골어류완전한 부레
폐어
현생 실러캔스지방이 가득 찬 부레(폐)
사지동물


4. 2. 연골어류의 부레 부재

상어·가오리 등의 연골어류는 경골어류가 폐를 획득하기 전에 분기했기 때문에, 폐도 부레도 갖지 않는다. 연골어류는 에 밀도 0.86의 지질스쿠알렌을 축적함으로써 부력을 얻는다. 따라서 연골어류의 간은 거대하다. 백상아리 등은 입을 통해 소화관에 공기를 넣는 방법으로도 부력을 얻는다.[1]

5. 인간과의 관계

동아시아 요리에서 특정 대형 어류의 부레는 고급 식재료로 여겨진다. 중국 요리에서는 이를 '어포(魚泡)', 花膠|화교중국어 또는 鱼鳔|위뱌오중국어라고 부르며[27] 수프나 스튜에 넣어 먹는다. 한국에서는 민어, 조기 등의 부레를 귀한 식재료로 여겨왔다.

희귀 어종 부레의 높은 가격은 세계에서 가장 작은 돌고래 종인 바키타(vaquita)의 멸종 위기를 초래하고 있다. 멕시코 캘리포니아만(Gulf of California)에 서식하는 바키타는 그물(gillnets)[29]에 걸려 죽는데, 이 그물은 토토아바(totoaba)를 잡기 위해 설치된 것이다. 토토아바는 부레 때문에 멸종 위기에 처했으며, 그 부레는 킬로그램당 10000USD에 달하는 가격에 팔린다.[28]

5. 1. 식용

동아시아 요리에서는 특정 대형 어류의 부레가 고급 식재료로 여겨진다. 중국 요리에서는 이를 '어포(魚泡)', 花膠|화교중국어 또는 鱼鳔|위뱌오중국어라고 부르며[27] 수프나 스튜에 넣어 먹는다.

한국에서는 민어, 조기 등의 부레를 귀한 식재료로 여겨왔다. 특히 민어 부레는 쫄깃한 식감과 고소한 맛으로 인기가 높으며, 찜, 탕, 회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

희귀해지는 어포의 높은 가격이 세계에서 가장 작은 돌고래 종인 바키타(vaquita)의 멸종 위기를 초래하고 있다. 멕시코의 캘리포니아만(Gulf of California)에서만 서식하는 바키타는 한때 개체 수가 많았으나 현재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28] 바키타는 그물(gillnets)[29]에 걸려 죽는데, 이 그물은 세계에서 가장 큰 농어과 어류(drum fish)인 토토아바(totoaba)를 잡기 위해 설치된 것이다. 토토아바는 부레 때문에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그 부레는 킬로그램당 10000USD에 달하는 가격에 팔린다.

5. 2. 환경 문제

중국 요리에서 '어포(魚泡)' 또는 화교(花膠)/어표(鱼鳔)라고 불리는 특정 대형 어류의 부레는 고급 식재료로, 수프나 스튜에 사용된다.[27]

희귀 어종의 부레는 높은 가격으로 인해 세계에서 가장 작은 돌고래인 바키타(vaquita)의 멸종 위기를 야기한다. 멕시코 캘리포니아만(Gulf of California)에 서식하는 바키타는 과거에는 개체 수가 많았지만, 현재는 멸종 위기에 놓여 있다.[28] 이는 세계에서 가장 큰 농어과 어류(drum fish) 중 하나인 토토아바(totoaba)를 잡기 위한 그물(gillnets)[29]에 바키타가 걸려 죽기 때문이다. 토토아바 역시 부레 때문에 멸종 위기에 처했으며, 부레는 10000USD에 거래된다.

6. 질병

부레병은 관상어에서 흔히 발생하는 질병이다. 부레병에 걸린 물고기는 머리가 아래로, 꼬리가 위로 향한 채 뜨거나, 수족관의 수면으로 뜨거나 바닥으로 가라앉는 등 부레 기능 이상으로 인해 제대로 떠 있거나 가라앉지 못하는 증상을 보인다.[32]

7. 음파 탐지

물고기의 부레는 특정 주파수의 소리를 강하게 반사하는 성질이 있다. 부레의 부피 공진 주파수와 일치하는 소리가 들어오면 강한 반사가 일어난다. 이러한 부레의 특성은 어군탐지기 등을 이용해 어종의 생체량을 추정하는 데 활용된다.[19]

대부분의 중층대 어류는 작은 여과 섭식자로, 부레를 이용하여 밤에 영양이 풍부한 표층대의 물에서 먹이를 먹기 위해 상승한다. 낮에는 포식자로부터 비교적 안전한 중층대의 어둡고 차갑고 산소가 부족한 물로 돌아온다. 아귀류는 모든 심해어 생물량의 최대 65%를 차지하며, 세계 대양의 심해 산란층에 크게 기여한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음파탐지기 운용자들은 낮에는 수심 300~500미터, 밤에는 더 얕은 곳에서 가짜 해저가 나타나는 현상에 당황했다. 이는 부레를 가진 수많은 중층대 어류가 음파를 반사했기 때문이었다. 이 현상을 심해 산란층이라고 한다.[21] 이들 어류는 밤에는 플랑크톤을 먹기 위해 얕은 물로 이동하고, 낮에는 심해로 돌아간다. 달이 밝으면 심해 산란층이 더 깊어지고, 구름이 달을 가리면 더 얕아진다.[21]

대부분의 중층대 어류는 매일 수직 이동을 한다.[22][23] 이들은 밤에는 동물성 플랑크톤을 따라 표층으로 이동하고, 낮에는 안전을 위해 심해로 돌아간다.[22][23] 이러한 수직 이동은 부레의 도움을 받아 이루어진다. 물고기가 위로 이동할 때는 부레가 팽창하고, 아래로 이동할 때는 수축한다.[24] 일부 중층대 어류는 10°C~20°C의 수온약층을 통과하며, 이는 상당한 온도 변화 내성을 보여준다.

아귀류는 모든 심해어 생물량의 최대 65%를 차지하며, 심해 산란층에 크게 기여한다.[25] 음파탐지기는 수백만 마리의 아귀류 부레에서 반사되어 가짜 바닥처럼 보이게 한다.[26]

8. 기타

민물 거북이가 물고기를 먹이로 할 경우, 내장을 뜯어 먹는 과정에서 부레가 잘려나가 수면 위로 떠오르는 경우가 있다. 일부 어류의 부레는 아이싱글라스(Isinglass)라고 불리는 젤라틴의 원료가 된다.

참조

[1] 웹사이트 More on Morphology http://www.ucmp.berk[...]
[2] 백과사전 Fish Microsoft
[3] 서적 Origin of Species https://books.google[...] D. Appleton 1859
[4] 논문 Buoyancy is provided by lipids of larval redlip blennies, Ophioblennius atlanticus
[5] 논문 The generation of hyperbaric oxygen tensions in fish 2001-12-01
[6] 웹사이트 Secretion Of Nitrogen Into The Swimbladder Of Fish. Ii. Molecular Mechanism. Secretion Of Noble Gases http://www.biolbull.[...] Biolbull.org 2013-06-24
[7] 서적 Vertebrates: Comparative Anatomy, Function, Evolution New York: McGraw-Hill Education 2011-02-16
[8] 논문 The inner ear and its coupling to the swim bladder in the deep-sea fish Antimora rostrata (Teleostei: Moridae) 2011-01-01
[9] 논문 Spinal Nerve Innervation to the Sonic Muscle and Sonic Motor Nucleus in Red Piranha, Pygocentrus nattereri (Characiformes, Ostariophysi) 2006-01-01
[10] 서적 Biology of fishes Taylor & Francis
[11] 논문 Fractional rate of change of swim-bladder volume is reliably related to absolute depth during vertical displacements in teleost fish 2010-09-06
[12] 서적 Encyclopedia of Evolution https://books.google[...] Infobase 2009
[13] 논문 Does the bowfin gas bladder represent an intermediate stage during the lung-to-gas bladder evolutionary transition? https://pubmed.ncbi.[...] 2021
[14] 논문 Tracing the genetic footprints of vertebrate landing in non-teleost ray-finned fishes 2021-03-04
[15] 논문 Allometric growth in the extant coelacanth lung during ontogenetic development 2015
[16] 논문 Did lungs and the intracardiac shunt evolve to oxygenate the heart in vertebrates http://biologylabs.u[...]
[17] 서적 Biology of Fishe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08-03-19
[18] 서적 Vertebrates: Comparative Anatomy, Function, Evolution WCB/McGraw-Hill
[19] 논문 Resonant acoustic scattering by swimbladder-bearing fish
[20] 논문 Comment on "Resonant acoustic scattering by swimbladder-bearing fish" [J. Acoust. Soc. Am. 64, 571–580 (1978)] (L)
[21] 웹사이트 Deep-sea creatures: The mesopelagic zone http://www.teara.gov[...] 2007-09-21
[22] 서적 Fishes : an introduction to ichthyology Pearson/Prentice Hall 2004
[23] 서적 Biology of fishes Taylor & Francis 2008
[24] 논문 Fishes in oxygen-minimum zones: blood oxygenation characteristics http://www.sciencema[...]
[25] 서적 Encyclopedia of Fishes Academic Press
[26] 웹사이트 Deep-sea fish diversity and ecology in the benthic boundary layer http://www.agu.org/m[...]
[27] 서적 A Tradition of Soup: Flavors from China's Pearl River Delta https://books.google[...] North Atlantic Books 2009
[28] IUCN Vaquita (''Phocoena sinus'') 2017
[29] 뉴스 'Extinction Is Imminent': New report from Vaquita Recovery Team (CIRVA) is released http://www.iucn-csg.[...] 2016-06-06
[30] 논문 The Natural History of Isinglass https://onlinelibrar[...]
[31] 논문 Material of early contraceptive sheaths
[32] 서적 Fancy Goldfish: A Complete Guide to Care and Collecting Weatherhill, Shambhala Publications, Inc.
[33] 논문 Effects of exposure to pile-driving sounds on the lake sturgeon, Nile tilapia and hogchoker 2012-12-07
[34] 논문 Threshold for Onset of Injury in Chinook Salmon from Exposure to Impulsive Pile Driving Sounds 2012-06-20
[35] 서적 The Effects of Noise on Aquatic Life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2-01-26
[36] 논문 Composition of float gases of Physalia physalis
[37] 논문 Swim-bladder surfactants of Amazon air-breathing fishes
[38] 서적 水辺で起きた大進化 早川書房
[39] 백과사전 중생대에는 익룡도 이에 해당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